티스토리 뷰

오늘날 현대인은 다양한 출처에서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메일, 소셜 미디어, 뉴스 업데이트, 인스턴트 메신저 사이에서 생산성을 유지하며 정보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정보 과부하(information overload)는 스트레스, 번아웃, 업무 성과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올바른 전략과 도구를 사용하면 정보 과부하를 극복하고 생산성과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information overload

 

정보 과부하가 뭘까

정보 과부하는 너무 많은 정보에 압도당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정보 과다, 정보 과잉이라고도 합니다. 정보가 너무 많아서 감당하지 못하고 정보에 눌리는 상태입니다. 당연하게도 사람은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보를 받아들이고 처리할 때에도 한계치가 있습니다. 그런데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정보에 노출되면? 문제가 생기겠죠. 스트레스, 불안, 혼란 등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생산성 저하와 잘못된 의사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이고요.
정보 과부하가 생기는 일차 원인은,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너무 많다는 것입니다.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달로 이제 우리는 언제 어디서나 전 세계 어디에서나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알림과 경고가 쉴새없이 날아오고, 이로 인해 업무에 집중하지 못하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정보 과부하의 폐해

정보 과부하는 건강은 물론 생산성에도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안 좋은지 살펴볼까요.

  • 스트레스와 번아웃 : 정보가 너무 많으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습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정신적인 탈진 상태(burnout)에 이르러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 생산성 저하 : 정보에 압도당하면 일에 집중하기 힘들고 일을 끝까지 해내지 못하게 됩니다. 즉 생산성이 떨어집니다. 약속된 일정에 일을 마감하지 못하고 신뢰도 떨어집니다. 
  • 잘못된 의사 결정 : 의사 결정을 빨리 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으면 분위기에 압도되어 결과적으로 잘못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정신과 육체가 문제가 생김 : 정보 과부하는 불안, 우울증 등 정신 건강 문제를 유발합니다. 또한 눈의 피로, 두통, 허리 통증, 소화 불량, 면역력 감퇴 같은 몸의 이상 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정보 과부하, 어떻게 극복하나

1. 정보량 줄이기

정보가 너무 많은 상태를 벗어나려면 기본적으로 정보의 양을 줄이면 됩니다. 소비하는 정보의 양, 정보가 나오는 곳을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 불필요한 이메일 수신 취소: 이메일을 너무 많이 받고 있어서 정신이 없다면, 불필요한 뉴스레터나 기타 커뮤니케이션을 구독 취소하세요.
  • 소셜 미디어 피드 필터링: 소셜 미디어에서 누구를 팔로우할지 신중하게 선택하고 가장 관련성이 높은 콘텐츠만 표시되도록 피드를 필터링하세요.
  • 뉴스 업데이트 제한 : 시사에 대한 최신 정보를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속적인 뉴스 업데이트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믿을 만한 뉴스 공급자를 몇 가지만 유지하고 하루에 한두 번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information-overload-code

2. 생산성 도구 사용

정보가 너무 많은 상태를 줄이기 힘들다면 정보를 잘 관리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생산성 관리도구를 적극적으로 사용합시다.

 

3. 선 긋기

정보 과부하를 관리하려면 경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해놓은 시간에 쉰다: 하루 종일 휴식을 취하면 재충전하고 번아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두 시간마다 휴식을 취하도록 타이머를 설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 알림 끄기: 알림은 집중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집중해야 할 때는 알림을 끄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중 특정 시간을 설정해 알림과 이메일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근무 시간을 명확하게 정한다: 명확한 업무 시간을 설정하고 그 시간을 지키세요. 24시간 내내 일하는 것을 피하고 휴식과 재충전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4. 우선순위 정하기

정보 과부하를 극복하기 위한 또 다른 핵심 전략은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입니다.

  • 80/20 법칙 : 80/20 법칙은 결과의 80%는 20%의 노력에서 나온다는 법칙입니다. 가장 중요한 20%의 작업을 파악하고 그 작업에 노력을 집중하세요.
  • 한 번에 한 가지 일만: 멀티태스킹은 비생산적이고, 실제로 가능하지 않습니다. 한 번에 한 가지 작업에 집중하면 업무에 압도될 일이 없습니다.
  • 거절하기: 새로운 업무와 책임을 계속 떠맡느라 부담을 느낀다면, 거절하는 법을 배우세요. 이미 맡은 일에 우선순위를 매기고, 여건이 되는 경우에만 새로운 작업을 맡으세요.

 

5. 마음챙김 연습하기

마음챙김은 정보 과부하를 관리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마음챙김이 스트레스 완화와 번아웃 방지를 위해 실제로 도움이 된다는 사실은 많은 전문가와 학자들이 증명했습니다. 마음챙김을 실천하는 사람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주 간단하게는 다음과 같이 해볼 수 있습니다.

  • 명상하기: 매일 몇 분씩 시간을 내어 명상하고 마음을 비워보세요.
  • 심호흡 연습하기: 부담스럽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몇 번 심호흡을 합니다.
  • 집중하기: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작업 중인 각 작업에 온전히 집중하세요.

정보 과부하는 현대 사회에서 흔히 겪는 문제이지만, 스트레스와 번아웃이 될 때까지 끌고 갈 필요는 없습니다. 정보를 선별하고, 생산성 도구를 사용해 시간을 관리하고, 방해 요소를 피하기 위해 경계를 설정하고, 작업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마음챙김을 연습해보세요. 정보에 휘둘리지 않고 정보를 잘 관리하는 상태는 꾸준한 노력을 통해 이룰 수 있습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